서산시가 농업 생산력 향상과 고품질 농산물 생산을 위해 식물 조직배양기술을 통한 우량종구 생산에 속도를 내고 있다. 농업기술센터 내 씨감자 생산시설(3066㎡)과 저온저장시설(266㎡)을 구축하고 농가 증식단지(6800㎡)를 선정해 우량종자를 생산하고 있다. 올해부터 씨감자를 본격적으..
서산시가 도심 속 무성하게 자란 가로수에 대한 솎아베기 작업으로 깔끔한 도시경관을 제공해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달 초부터 전문녹지관리단 4명을 투입해 중앙로 등 25개 노선 47.5Km에 식재된 12종 1만 6163본의 가로수에 대한 전정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시는 이번 작업을 ..
AI 발생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서산 천수만에서 헬기를 이용해 대대적인 항공 방제가 펼쳐졌습니다. 날이 풀리면서 천수만의 철새는 크게 줄었지만 일부는 텃새화될 수 있어 AI를 안심하긴 이릅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드넓은 천수만 AB지구 상공에 산림청 방제..
충남 쌀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첫 해외수출이 이뤄진 지난 2007년보다 무려 5배 이상 급증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최근 수출 신장세가 주춤해 새로운 돌파구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김지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호주 등지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서산 뜸부기 쌀입니다. 쌀 ..
서산시의 인구가 올해 상반기안에 17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산시에 따르면, 지난달말 현재 인구가 17만명에 9백여명 모자란16만9천88명으로 1년전에 비해 2천600여명이 증가했습니다. 서산시는 매월 평균 200-250명씩 인구가 늘고 있다며 이런 추세면 올 상반기안에 17만명을 넘..
2014년도 서산시새마을회 정기총회를 개최했습니다.
서산시가 지역 우수 농식품의 대외 경쟁력 향상을 위해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안전행정부와 특허청으로부터 1억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우수 농식품의 지리,환경,인과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 권리 확보 절차를 진행한다. 시는 쌀 소비 촉진을 위해 개발한 4종의 기능성 쌀 가공 ..
시청 상황실에서 3.1절 기념 역전 경주대회 출정식을 가졌습니다.
서산시는 해빙기를 앞두고 대형 건설공사장과 축대?옹벽 등의 안전사고 발생이 높아짐에 따라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이를 위해 다음달 31일까지를 해빙기 안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해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또 1개반 19명으로 ..
서산시 성연면(면장 이정희)은 19일 면사무소 회의실에서 읍면동 최초로‘성연면 청소년지도협의회(회장 김승진)’를 창립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 10명의 청소년 지도위원으로 구성된 협의회는 지역 여건에 맞는 청소년 계획 수립을 통해 올바른 청소년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자 자발..
서산시가 AI 청정지역 사수를 위해 방역을 한층 강화하는 등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산림청 소속 대형헬기 1대, 무인헬기 2대를 투입해 천수 만 철새도래지에 대한 대대적인 항공방제를 실시했다. 항공방제는 방제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짧은 시간에 대규모 방제를 할 수 있어 AI 확..
서산시의 인구가 올해 상반기에 17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말 시의 인구는 17만명에 9백여명 모자란 16만 908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인구 16만 6460명에 비해 2628명이 늘어났다. 시는 매월 인구가 평균 200~250명씩 늘고 있어 이같은 추세라면 올해 상반기 안에 17만..
서산시가 시민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해 다양한 장르의 내실 있고 풍성한 기획공연을 펼친다. 문화회관은 고품격 공연문화를 시민들이 부담 없이 관람할 수 있도록 올해 11회의 기획공연을 추진한다. 지난 6일 국립합창단&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의‘신년 음악회’를 시작으로, 시..
서산시는 소규모 영세 축산농가를 대상으로‘찾아가는 가축질병 관리제’를 운영한다. 영세 고령 축산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운영하는 이 제도는 농가, 수의사, 검사기관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통해 검진과 축산 컨설팅을 제공한다. 지원 대상은 70세 이상으로 20두 미만의 ..
서산시는 올해부터 보건기관과 병의원에서 시행하는 영유아 국가 필수 예방접종 11종을 전면 무료로 시행한다. 지난해까지는 위탁 의료기관에서 영유아 예방접종 시 접종비용 5,000원을 부담했으나 올해부터는 전액 무료로 지원된다. 이에 따라 만12세 이하 아동은 주소지에 관계 없이 전..